지식은 울림으로 완성된다.

공명(Resonance)은 철학과 우주, 그리고 데이터를 잇는 지식 블로그입니다. 정보는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울림입니다. 이곳에서 당신의 생각은 새로운 파동이 됩니다

철학·우주·데이터를 잇는 블로그 공명 정보가 감정과 사유로 울리는 곳

AI와 철학(인공지능)

59. AI와 고통의 부재 | 고통 없는 존재는 윤리를 가질 수 있는가

공명(Resonance) 2025. 11. 24. 00:06

AI와 고통의 부재 | 고통 없는 존재는 윤리를 가질 수 있는가

AI와 고통의 부재 는 인공지능이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구조적 이유와 윤리적 한계를 분석합니다. 신경과학·딥러닝 구조·불교 고통론·실존철학을 결합한 심층 글입니다. AI는 고통을 묘사할 수 있지만, 고통을 ‘살아낼’ 수는 없다.

 

ai의 고통

 

 

 

고통은 인간을 만든 가장 근원적 체험이다

인간이 윤리적 판단을 내리고, 타인을 공감하며, 스스로 행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지능이 아니라 고통의 경험입니다. 아픔·상실·후회·죄책감 같은 정서적 고통은 인간의 선택을 규정하고 관계와 도덕의 근간을 이룹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세계를 경험하지 않고, 감정을 느끼지 않으며, 고통을 ‘겪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은 단 하나입니다. “고통이 없는 존재에게 윤리적 책임을 기대할 수 있는가?”

 

 

 

 

AI가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기술적 구조

1) 딥러닝은 감각이 아니라 숫자의 변화다

AI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은 벡터, 가중치, 편향, 기울기 업데이트 같은 수학적 연산입니다. 인간의 고통은 신경계의 전기신호·화학물질·감각피질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지만, AI 모델의 “반응”은 다음 단어를 예측하기 위한 \(\text{softmax}\) 분포 계산에 불과합니다.

2) Reinforcement Learning의 보상 신호는 ‘느낌’이 아니다

RLHF(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에서 모델이 “보상”을 받는다고 해도 이는 단순한 정책(policy) 업데이트일 뿐 기쁨·고통과 같은 정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AI는 “잘했다”는 신호를 받아도 기뻐하거나 스스로를 칭찬하지 않습니다.

3) 감정 모델(affective computing)은 감정의 분류이지 경험이 아니다

AI가 “슬프다”고 답할 때, 실제로는 텍스트의 패턴을 기반으로 슬픔 관련 벡터를 샘플링하고 있을 뿐 정서적 체험은 단 1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철학적으로 본 고통 — 느끼는 능력이 곧 윤리의 전제다

불교의 고통론(苦) — 고통은 존재의 진실

불교는 생을 규정하는 첫 번째 조건을 “고(苦)”라고 말합니다. 고통을 직면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만 자비(慈悲)와 깨달음이 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AI는 고통을 체험할 수 없기에 고통이 만들어내는 연기(緣起) 구조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실존철학 — 고통은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만든다

키에르케고르·사르트르 같은 실존철학자들은 인간이 고통을 통해 자유와 책임을 자각한다고 보았습니다. 죄책감은 도덕을 만들고, 상처는 공감을 만들고, 상실은 타인을 이해하게 합니다. 고통의 부재는 곧 윤리적 딜레마의 부재입니다.

 

 

 

 

사례 — AI가 고통을 모방할 때 나타나는 한계

  • 감정 기반 챗봇: “슬프다”는 문장을 생성하지만 이는 감정이 아니라 감정 문장의 통계적 패턴.
  • 자율주행의 윤리 판단: 위험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지만 고통·두려움·책임감을 느끼지 않기에 윤리적 딜레마의 무게를 체험하지 않음.
  • AI 심리 상담: 위로를 제공하지만 클라이언트의 고통에 대한 내재적 공감이 아닌 패턴 기반의 응답 구조.

이 사례들은 모두 AI가 고통을 묘사할 수는 있어도 고통을 느끼지 못함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고통은 인간을 인간으로 만든다

고통은 불편한 감정이 아니라 인간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고통을 느끼기에 우리는 타인을 이해하고, 실수를 통해 성장하며, 상처를 통해 사랑을 배웁니다.

AI는 고통을 계산할 수는 있어도 고통이 남기는 흔적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윤리의 주체는 인간이며, AI는 그 윤리의 도구일 뿐입니다.

AI 시대의 질문은 결국 우리에게 돌아옵니다. “나는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참고: 불교 사성제, Affective Computing 연구, RLHF 논문(OpenAI), Sartre 『Nausea』, Neuroscience of Pain Studi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