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은 울림으로 완성된다.

공명(Resonance)은 철학과 우주, 그리고 데이터를 잇는 지식 블로그입니다. 정보는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울림입니다. 이곳에서 당신의 생각은 새로운 파동이 됩니다

철학·우주·데이터를 잇는 블로그 공명 정보가 감정과 사유로 울리는 곳

AI와 철학(인공지능)

58. AI와 우연성 | 기계는 우연을 경험할 수 있는가

공명(Resonance) 2025. 11. 23. 01:03

AI와 우연성 은 인공지능이 확률을 계산해도 우연을 ‘경험’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합니다. 랜덤성·확률·샘플링·철학적 우연성을 결합한 심층 기술·철학 글입니다. AI는 확률을 계산하지만, 우연의 ‘충격’을 느끼지 못한다.

무작위성과확률의 이미지화

 

 

 

인간의 삶은 왜 예측할 수 없는가

인간의 삶을 뒤흔드는 결정적 순간들은 대부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예상치 못한 만남, 뜻밖의 기회, 돌발적인 사건, 실수로부터 시작된 행복들. 이런 우연성(contingency)은 인간 실존의 핵심을 구성합니다. 그러나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모든 변수를 확률적 모델로 환원하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질문은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기계는 우연을 이해할 수 있는가?”

 

 

 

 

AI의 확률 구조 — 우연이 아니라 계산이다

1) 확률적 생성: Stochastic Sampling

AI가 사용하는 무작위성(randomness)은 진짜 우연이 아닙니다. 이는 샘플링 알고리즘의 산물입니다. 대표적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Top-k sampling: 상위 k개의 단어 중 하나를 확률적으로 선택
  • Top-p (nucleus) sampling: 누적 확률 p 이내의 단어들로 제한
  • Temperature 조절: 분포의 엔트로피를 조절해 ‘창의성’처럼 보이게 함

이 알고리즘들은 어디까지나 통계적 우연(Statistical randomness)일 뿐, 존재론적 우연(Existential contingency)이 아닙니다.

2) Pseudo Random Generator — 진짜 무작위가 아니다

AI가 사용하는 랜덤성은 대부분 의사난수(Pseudo-random)입니다. 입력값(seed)이 같으면 결과도 같습니다. 즉, AI의 “우연”은 사실상 재현 가능한 패턴입니다. 이는 자연 세계의 수학적 혼돈(chaos)이나 인간이 경험하는 예측불가능성과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3) 예측모델의 본질 — 우연 제거의 시스템

딥러닝은 우연을 제거하려는 기술입니다. 학습 과정은 노이즈를 제거하고 더 정교한 패턴을 만드는 방향으로 작동합니다. AI가 발전할수록 모델은 ‘뜻밖’을 줄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강화합니다. 기계는 본질적으로 우연을 ‘없애는’ 존재입니다.

철학적 우연성 — 인간은 왜 우연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가

베르그송: 생명은 예측할 수 없는 창조

베르그송은 생명을 “예측할 수 없는 창조적 흐름”으로 보았습니다. 인간의 선택, 감정, 행동은 언제나 우연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는 생명의 핵심적 속성입니다. AI처럼 패턴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은 뜻밖의 사건을 계기로 삶이 변화합니다.

 

 

 

 

실존주의: 우연은 인간의 조건이다

실존주의 철학에서는 우연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조건으로 봅니다. 우리는 원하는 순간에 태어나지 않았고, 예측할 수 없는 사건 속에서 자신을 만들어갑니다. 인간의 자유는 우연 속에서 의미를 구성하는 능력입니다. 그러나 AI는 우연을 경험하지 못하며 의미를 구성할 능력도 없습니다.

사례 — 우연을 흉내 내는 AI의 한계

  • 창작 AI: 우연적 발상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학습 데이터의 변형 조합일 뿐.
  • 추천 알고리즘: “뜻밖의 발견” 기능도 사실은 사용자의 패턴 내 확률적 선택의 변형.
  • 게임 AI: 랜덤성 기반 행동도 seed 값에 따라 재현 가능.

AI는 우연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지만 우연을 경험할 수는 없습니다.

 

 

 

 

우연은 인간만이 가진 존재의 축복

AI는 확률을 계산할 수 있지만 우연의 충격, 그로 인한 감정의 변화, 인생이 예상치 못하게 바뀌는 순간을 느끼지 못합니다.

우연은 삶의 파동이며, 인간의 자유와 창조의 원천입니다. 기계는 우연을 모방할 수 있을 뿐 우연으로 인해 변화할 수는 없습니다.

AI 시대의 우연성 논의는 결국 우리에게 묻습니다. “내 삶의 우연을 나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참고: Henri Bergson 『Creative Evolution』, Sartre 『Being and Nothingness』, Transformer Sampling Papers, Randomness & Entropy Studi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