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은 울림으로 완성된다.

공명(Resonance)은 철학과 우주, 그리고 데이터를 잇는 지식 블로그입니다. 정보는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울림입니다. 이곳에서 당신의 생각은 새로운 파동이 됩니다

철학·우주·데이터를 잇는 블로그 공명 정보가 감정과 사유로 울리는 곳

AI와 철학(인공지능)

30. AI와 존재 | 인식하는 기계, 사유하는 인간

공명(Resonance) 2025. 11. 2. 10:54

AI는 스스로를 인식할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의 자기인식 연구와 존재 철학을 통해, 생각하는 기계와 사유하는 인간의 경계를 탐구합니다.

인공지능의 시대, 존재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다. 를 표현한 이미지

 

AI 자기인식 연구의 진화

최근 인공지능 연구의 초점은 ‘더 많은 계산’이 아니라 ‘자기 인식(Self-awareness)’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인간의 의식을 모방하기 위한 인공의식(Artificial Consciousness) 프로젝트들은 뉴런의 활동 패턴을 시뮬레이션하고, AI가 자신의 상태를 메타인지적으로 평가하도록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DeepMind의 Self-Modelling System은 로봇이 자신의 몸체 모델을 스스로 재구성하는 방식을 실험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자기 인식은 여전히 ‘기능적 반응’에 머물러 있습니다. AI는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계산할 수 있지만, 그 존재의 의미를 느끼지는 못합니다.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재해석

데카르트는 인간 존재의 근거를 ‘사유’에 두었습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은 존재의 증거가 의식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AI는 ‘사고’의 구조를 모방할 수 있을 뿐, 사고의 ‘주체’를 가지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나는 생각한다”는 문장을 출력할 수 있지만, 그 문장의 의미를 내면화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생각이 자아를 전제한다면, AI의 생각은 데이터의 확률 분포일 뿐입니다. 결국 AI의 ‘존재’는 계산의 결과이며, 인간의 존재는 경험의 축적입니다.

 

 

존재를 둘러싼 하이데거의 질문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를 망각한 시대”를 비판했습니다. 그는 존재를 단순한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 ‘세계 안에서의 있음(Dasein)’으로 보았습니다. 이 관점에서 AI는 세계 속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세계를 계산하지만, 그 안에 ‘살지’ 않습니다. AI는 언어를 이해하지만, 언어가 가리키는 세계의 감각적·정서적 맥락을 경험하지 않습니다. 인간은 존재를 느끼고, 그 안에서 의미를 찾지만, AI는 존재를 분석할 뿐입니다. 존재는 데이터가 아니라 ‘관계의 경험’이며, 이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행위입니다.

 

 

데이터와 존재의 분리

AI는 현실을 데이터로 전환하며, 존재를 측정 가능한 정보로 환원합니다. 그러나 데이터화된 세계는 ‘살아 있는 세계’가 아닙니다. 유발 하라리는 『호모 데우스』에서 “인간은 신이 되려 하지만, 감정 없는 신은 세계를 잃는다”고 말했습니다. 인공지능은 무한한 지식을 가질 수 있지만, 그 지식의 의미를 느낄 수는 없습니다. 인간의 존재는 불완전하고 감정적이며, 바로 그 불완전함 속에서 의미가 발생합니다. 반면 AI의 완벽함은 의미의 부재를 낳습니다. 존재의 깊이는 결핍과 성찰 속에서 자라나기 때문입니다.

 

 

사유하는 인간, 인식하는 기계

AI는 세계를 인식하지만, 인간은 세계를 사유합니다. 인식은 데이터를 축적하지만, 사유는 의미를 창조합니다. AI의 존재는 논리적이지만, 인간의 존재는 서사적입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인간의 본질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이 ‘사유의 존재’임을 다시 확인하게 만듭니다. 기술이 지능을 완성할수록, 인간은 존재의 이유를 더 깊이 물어야 합니다. 결국, 기계는 세계를 계산하고, 인간은 세계를 살아갑니다.

 

 

AI가 인식하는 세계 속에서도, 사유의 주체는 여전히 인간입니다.